AI 그게 뭔데
끄적끄적 개발일지
AI 그게 뭔데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342)
    • 논문 (5)
    • DL(Deep-Learning) (34)
      • 개념 (14)
      • Python 기초 (14)
      • Tensorflow (6)
      • Pytorch (0)
    • NLP (10)
    • OpenCV (53)
    • DevOps (10)
      • AWS (2)
      • Docker & Kubernetes (4)
      • Spark (3)
      • SQL (1)
    • MacOS (1)
    • React-Native (2)
    • BI (3)
      • GA(Google Analytics) (3)
      • Tableau (0)
    • 알고리즘 (221)
      • 백준 (76)
      • 프로그래머스 (108)
      • 기타 알고리즘 (37)

인기 글

태그

  • LEVEL2
  •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 OpenCV
  • 연습문제
  • 이코테
  • 파이썬
  • Python
  • level1
  • 백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AI 그게 뭔데

끄적끄적 개발일지

BI/GA(Google Analytics)

[GA]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용어정리

2022. 1. 25. 14:14

이번에는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세션 [Session]

사이트나 앱을 방문한 유저가 접속 시점부터 이탈할 때까지 수행하는 개별 행동을 의미한다.

쿠키를 기반으로 유저의 방문수를 측정한다.

 

세션이 종료되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 방문자가 접속 후 30분 동안 아무런 액션이 없는 경우 세션은 종료
  • 자정(오전 12시)이 되면 세션은 종료
  • 사이트의 유입경로가 바뀌면 세션이 종료
  • 브라우저가 바뀌면 세션이 종료
  • 캠페인이 변경되면 세션이 종료

GA에서 기본적으로 세션 만료 시간은 30분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세션 만료시간은 변경 가능하다.

 

 

히트 [Hit]

사이트에 방문한 사용자의 모든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페이지뷰, 이벤트참여, 장바구니 담기, 구매 등의 행동을 말한다.

 

 

사용자 수 [Users]

UV(Unique Visitor)와 의미가 동일하며, 특정 기간 동안 사이트 또는 앱에 방문한 수를 의미한다.

기간동안 동일한 사람이 여러번 방문해도 1번만 카운트 되며 중복이 제거된다.

쿠키는 브라우저 별로 발행되며 쿠키를 강제로 삭제 후 방문 시 신규 사용자로 인식한다.

 

 

방문수(접속수) [Entrances]

세션과 비슷해 보이지만 다른 개념으로, 세션의 첫번째 페이지뷰 또는 화면 조회와 함께 누적되기 시작되는 지표이다.

맨 처음 방문했을 때 카운트가 된다.

 

 

페이지뷰 수 [Pageviews]

사용자가 사이트나 앱에서 읽은 페이지의 수를 페이지뷰 수라고 한다.

페이지뷰 수는 사용자를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페이지에 도달한 후 새로고침 버튼을 클릭하면 추가 페이지뷰가 발생한다.

사용자가 다른 페이지를 탐색한 후 다시 원래 페이지로 돌아올 경우에도 새로운 페이지뷰로 기록된다.

 

 

세션당 페이지수 [Pages / Session]

한 번 방문시 평균적으로 몇 개의 페이지를 보았는지 알 수 있는 지표이다.

한 페이지를 반복적으로 조회한 수도 집계에 포함되며, 방문자들이 사이트에 방문하여 평균적으로 보여지는 페이지 수를 의미한다.

이 수치가 높으면 우리 사이트의 컨텐츠가 좋다고 볼 수 있다.

 

 

평균 세션 시간 [Avg. Session Duration]

모든 세션의 전체 시간(초)을 세션 수로 나눈 값이다. 즉, 사용자의 평균 체류시간과 동일하다.

평균 세션 시간 지표 확인을 통해 방문자들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체류하는지 알 수 있다.

사용자에게 다양한 컨텐츠와 정보를 제공하게 되면 평균 세션 시간은 길어질 것이며, 불 필요 정보만 있다면 평균 세션 시간 길이는 짧아질 수 있다.

 

 

이탈률(반송률) [Bounce rate]

사용자가 하나의 페이지만 보고 바로 나가는 수치를 의미한다.

이상적인 수치는 약 20% 내외로, 브랜드 인지도가 낮고 광고 트래픽이 많은 경우 이탈률이 높다.

랜딩 페이지와 같은 경우가 아니라면 통상적으로 낮을수록 좋다.

 

 

이탈률(%)(종료율) [Exit rate]

해당 페이지에서 몇 %가 종료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종료율이 20%이면 100명중 20명이 해당 페이지에서 나가고 80명은 다른 페이지로 이동한다고 볼 수 있다.

종료율이 높다고 무조건 나쁜것은 아니며, 마케팅 이벤트 페이지의 경우 종료율의 수치가 높을수록 좋다 판단된다.

 

 

세그먼트 [Segment]

공통의 속성을 공유하는 세션 또는 사용자의 집합으로, 사용자를 구분하여 효과적으로 분석을 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를 원하는 것으로만 볼 수 있도록 필터링을 하는 작업으로 보면된다.

 

 

전환 [Conversion]

‘사용자가 마케팅에 호응해서 목적이 되는 행위를 하는 시점’으로 정의 할 수 있다. 즉, 목표를 달성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이다.

제품 판매를 목적으로 마케팅을 한다면 사용자가 제품을 구매하는 시점이 전환이 된다.

구매 외에도 회원가입, 이벤트 안내 페이지 클릭, 제품상세 클릭, 체류 시간 10분 이상 등의 기준으로 전환을 잡을 수도 있다.

 

 

이벤트 [Event]

이벤트는 사용자의 참여, 즉 행동 그 자체를 말하며 이는 웹과 앱 이동 간에도 데이터를 끊기지 않게 추적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기준이 된다. 

사용자가 페이지를 첫 방문한 사실(first visit), 페이지를 보는 것(view), 페이지를 쭉 내려보는 것(scroll), 다른 카테고리로 넘어가는 것(click) 등의 모든 행위를 말한다.

 

'BI > GA(Google Analy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 추적코드 설치  (0) 2022.01.25
[GA] Google Analytics 시작하기  (0) 2022.01.25
    AI 그게 뭔데
    AI 그게 뭔데
    공부와 개발 그리고 AI가 약간 첨가된 흔적 남기기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