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그게 뭔데
끄적끄적 개발일지
AI 그게 뭔데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342)
    • 논문 (5)
    • DL(Deep-Learning) (34)
      • 개념 (14)
      • Python 기초 (14)
      • Tensorflow (6)
      • Pytorch (0)
    • NLP (10)
    • OpenCV (53)
    • DevOps (10)
      • AWS (2)
      • Docker & Kubernetes (4)
      • Spark (3)
      • SQL (1)
    • MacOS (1)
    • React-Native (2)
    • BI (3)
      • GA(Google Analytics) (3)
      • Tableau (0)
    • 알고리즘 (221)
      • 백준 (76)
      • 프로그래머스 (108)
      • 기타 알고리즘 (37)

인기 글

태그

  • OpenCV
  • Python
  • LEVEL2
  • 프로그래머스
  • 파이썬
  • 알고리즘
  • 백준
  • 연습문제
  • level1
  • 이코테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AI 그게 뭔데

끄적끄적 개발일지

알고리즘/기타 알고리즘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with Python] 떡볶이 떡 만들기 : 이진 탐색

2022. 1. 24. 21:18

교재 :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CHAPTER 7 이진 탐색
실전문제 7-2 떡볶이 떡 만들기 201p

 

 

문제

오늘 동빈이는 여행 가신 부모님을 대신해서 떡집 일을 하기로 했다.

오늘은 떡볶이 떡을 만드는 날이다. 동빈이네 떡볶이 떡은 재밌게도 떡볶이 떡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다.

대신에 한 봉지 안에 들어가는 떡의 총 길이는 절단기로 잘라서 맞춰준다.

 

절단기의 높이(H)를 지정하면 줄지어진 떡을 한 번에 절단한다.

높이가 H보다 긴 떡은 H 위의 부분이 잘릴 것이고, 낮은 떡은 잘리지 않는다. 이걸 처리 안 해줘서 시간을 허비했다.

 

예를 들어 높이가 19, 14, 10, 17cm인 떡이 나란히 있고 절단기 높이를 15cm로 지정하면 자른 뒤 떡의 높이는 15, 14, 10, 15cm가 될 것이다. 잘린 떡의 길이는 차례대로 4, 0, 0, 2cm이다. 손님은 6cm만큼의 길이를 가져간다.

손님이 왔을 때 요청한 총 길이가 M일 때 적어도 M만큼의 떡을 얻기 위해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조건

첫째 줄에 떡의 개수 N과 요청한 떡의 길이 M이 주어진다. (1<=N<=1,000,000, 1<=M<=2,000,000,000)
둘째 줄에는 떡의 개별 높이가 주어진다.

떡 높이의 총합은 항상 M 이상이므로, 손님은 필요한 양만큼 떡을 사갈 수 있다. 높이는 10억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 또는 0이다.

 

 

출력 조건

적어도 M만큼의 떡을 집에 가져가기 위해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입력 예시
4 6
19 15 10 17

출력 예시
15

 

 


✔ Solution

# 떡의 개수(N)와 요청한 떡의 길이(M)을 입력
n, m = list(map(int, input().split(' ')))

# 각 떡의 개별 높이 정보를 입력
array = list(map(int, input().split()))

# 이진 탐색을 위한 시작점과 끝점 설정
start = 0
end = max(array)

# 이진 탐색
result = 0
while(start <= end):
    total = 0
    mid = (start + end) // 2
    for x in array:
        # 잘랐을 때의 떡볶이 양 계산
        if x > mid:
            total += x - mid
    # 떡볶이 양이 부족한 경우 더 많이 자르기 (오른쪽 부분 탐색)
    if total < m:
        end = mid - 1
    # 떡볶이 양이 충분한 경우 덜 자르기 (왼쪽 부분 탐색)
    else:
        result = mid # 최대한 덜 잘랐을 때가 정답이므로, 여기에서 result에 기록
        start = mid + 1

# 정답 출력
print(result)

'알고리즘 > 기타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Dynamic Programming 동적 프로그래밍  (0) 2022.01.24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with Python] 두 배열의 원소 교체  (0) 2022.01.24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with Python] 부품 찾기 : 이진 탐색  (0) 2022.01.24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with Python] 이진탐색  (0) 2022.01.24
이진 탐색 알고리즘  (0) 2022.01.24
    AI 그게 뭔데
    AI 그게 뭔데
    공부와 개발 그리고 AI가 약간 첨가된 흔적 남기기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