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문제 해설 - 땅따먹기
프로그래머스의 모의테스트는 프로그래머스의 시스템에 익숙해지기 위한 테스트이며, 문제 자체는 2018 1ST KAKAO BLIND RECRUITMENT와 전혀 관계없습니다. 다만 모의테스트의 풀이에 대한 요청이 있어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땅따먹기 게임을 하려고 합니다. 땅따먹기 게임의 땅(land)은 총 N행 4열로 이루어져 있고, 모든 칸에는 점수가 쓰여 있습니다. 1행부터 땅을 밟으며 한 행씩 내려올 때, 각 행의 4칸 중 한 칸만 밟으면서 내려와야 합니다.
단, 땅따먹기 게임에는 한 행씩 내려올 때, 같은 열을 연속해서 밟을 수 없는 특수 규칙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 1 | 2 | 3 | 5 |
| 5 | 6 | 7 | 8 |
| 4 | 3 | 2 | 1 |
로 땅이 주어졌다면, 1행에서 네번째 칸 (5)를 밟았으면, 2행의 네번째 칸 (8)은 밟을 수 없습니다.
마지막 행까지 모두 내려왔을 때, 얻을 수 있는 점수의 최대값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위 예의 경우, 1행의 네번째 칸 (5), 2행의 세번째 칸 (7), 3행의 첫번째 칸 (4) 땅을 밟아 16점이 최고점이 되므로 16을 return 하면 됩니다.
제한사항
- 행의 개수 N : 100,000 이하의 자연수
- 열의 개수는 4개이고, 땅(land)은 2차원 배열로 주어집니다.
- 점수 : 100 이하의 자연수
입출력 예
land | answer |
[[1,2,3,5],[5,6,7,8],[4,3,2,1]] | 16 |
✔ Solution
def solution(land):
for i in range(0, len(land)-1):
land[i+1][0] += max(land[i][1],land[i][2],land[i][3])
land[i+1][1] += max(land[i][0],land[i][2],land[i][3])
land[i+1][2] += max(land[i][0],land[i][1],land[i][3])
land[i+1][3] += max(land[i][0],land[i][1],land[i][2])
return max(land[-1])
✔ Solution 2
def solution(land):
for i in range(1, len(land)):
for j in range(len(land[0])):
land[i][j] = max(land[i -1][: j] + land[i - 1][j + 1:]) + land[i][j]
return max(land[-1])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카카오 인턴십]크레인 인형뽑기 게임 - Level 1 (0) | 2022.01.20 |
---|---|
[프로그래머스/정렬] K번째 수 - Level 1 (0) | 2022.01.20 |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내 p와 y의 개수 - Level 1 (0) | 2022.01.20 |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다루기 기본 - Level 1 (0) | 2022.01.20 |
[프로그래머스] 가장 큰 정사각형 찾기 (0) | 2022.01.20 |